박은배 김녕 깻잎 생산자님
저는 여기 김녕에서 태어났고 이제까지 자랐고
옛날 그대로 뭐 조상님 잘 모시고 농사에 종사하고 있어요.
우리 김녕은 본래 참. 옛날부터 조상님한테 들은 말인데요.
도둑도 없고, 또 뭐 사기성이라던가 이런 거 하나도 없어요.
이제까지 우리 옛날 그대로 조상님이 뜻대로. 우리 아버님도 정직하게만 살아라.
인생은 욕심도 부리지 말고, 그렇다고 또 없다고 또 한탄도 하지 말고
주어진 운명대로 부진하게 꾸준하게 살아가면 된다 해서 이제까지 살아왔어요.
깻잎은 이거 한 지가 한 30년 거의 됐죠.
소득 작물로 마늘 양파가 금방 시작할 때 그때는 그 양파도 지게로 지고 저장했다가
그 나중에는 선별하면서 포장하면서 조금씩 보내거든요. 그럼 뭐가 돈이 돼요. 돈이 안 되지.
세월이 조금 지나니까 우리가 뭔가 하나 새로운 것을 해보자 ‘우리도 깻잎으로 뭔가 해보자’ 해서 도전을 했어요.
처음은 여섯 분이 했는데 어떻게 할지도 모르니까 육지서 깻잎 파는 분을 초빙했어요.
초빙해서 한 달 동안 숙식하면서 밥 다 해주면서 따는 것도 배우고 재배하는 것도 배우고
그래서 여섯 농가가 한 7년을 해오다가 그 후에 내 뒤로 한 10명이 더 신청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때 한 18농가 했는데, 지금은 우리 김녕만도 깻잎 농가가 거의 80, 90농가 돼요.
월정, 행원까지 하면 아마 100농가가 넘어요. 엄청나요. 엄청.
깻잎이 수입이 나아요. 근데 좀 힘이 들어요.
우리 부부만 하는게 아니라 다 딴 데도 부부끼리 하지만 허리가 워낙 계속 굽어서
깻잎을 따야 되니까 힘들어도 돈은 돼요.
우리가 이 동북기술센터에 자꾸 나가요.
깻잎연구회라고 해서 세화하고 우리하고 같이 조직이 돼 있어요.
내가 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데 가서 소장님하고 담당자하고
품질 좋은 깻잎을 생산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연구를 계속 해요.
산도 측정을 3개월에 한 번씩 자꾸 권장해요.
회원들한테 내가 이만한 비닐을 갖다 주면서 하우스 안에 네 군데를 흙을 좀 담아주시오.
따로 내가 갖고 와서 산도 측정을 해요.
그러면 이 땅에는 뭐가 필요하고, 뭐가 부족하고, 뭐가 남고 이런 걸 우리가 판단이 되거든요. 예를 들어서 1번 많이 준 거를 줄이고 2번이 좀 적다 하는 거는 또 2번에 많이 좀 주고.
그렇게 해서 자꾸 연구해요.
깻잎은 큰 작물이죠. 큰 소득.
옛날이야 뭐 보리했다가 감자 하면서 저도 고비를 넘겼는데
배고파서 감자 받아서 구워 먹고, 보리 철 되면 보리 먹고. 그때는 전부 수작업이야 수작업.
기계가 있는가. 뭐가 있는가.
깻잎을 시작한 후로 소득도 늘어나고 깻잎만이라도 품질 좋은 거 유지하면서 더 좋은 상품성 있는 깻잎을 생산해보자 해서 이거 해보고 저거 해보고 많이 연구해요.
소득작물은 품질 향상이 제일 우선으로 봐야 돼요. 항상.
내가 보기에도 커도 안 되고 작아도 안되고 균일한 크기를 유지해야.
옛날 할아버지들이 조상님들이 보기 좋은 떡 먹기 좋더라 그런 뜻이에요.
회원들한테 부탁드리는 것도 너무 작은 것도 따지 말고 너무 크게끔 키워서 따지 말고
이렇게 해 주십시오. 해서 자꾸 부탁을 해요.
지금 고향 떠난 분들이 많이 와요.
젊은 분들도 육지에서 도시에서 살다가 많이 왔어요.
와서 부모 농사를 이어받아서 농사하는 분들도 많고. 하우스에서 하는 분도 많고.
고향으로 찾아와서, 육지분도 찾아와서 이렇게 하니까 참 흐뭇하고 그래요.
우리 김녕리는 나는 자부심 갖고 서로 뭐 관계도 원만하게 잘 돼 있고. 예의도 바르고.
저도 그런 긍지 갖고 살고 우리는 깻잎을 워낙 저도 해보니까 힘이 들어도 수입이 좋으니까.
나는 권장이야 지금은 김녕에서 포도도 하고 바나나도 하지만 만약에 그런 큰 거 없이
그냥 원만하게 하려면 깻잎도 하고 상추도 하고 그렇게 하면은 좋을 것 같아요.
나는 권장하는 편이에요.